서지주요정보
Effectiveness of automated speed enforcement system on expressway = 고속도로 무인과속단속시스템의 효과 분석 연구
서명 / 저자 Effectiveness of automated speed enforcement system on expressway = 고속도로 무인과속단속시스템의 효과 분석 연구 / Ji-Sup Sh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7206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T 1401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Speeding is a major risk factor for traffic safety as it increases crash occurrences and the level of injury severity. To counteract the speeding issues, the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automated speed enforcement system (ASES) to reduce social loss from traffic crashes. Spot ASES that enforce speeding with the measured speed at the point locations has been widely implemented in Korean roadways. As information on enforcement locations is advised to drivers via navigation and mobile application and traffic signs, drivers can avoid enforcement by momentarily diminishing their speeds at the enforcement locations. This so- called kangaroo effect may increase the risk of crashes due to sudden changes in speed near the enforcement locations. As an effective alternative, section ASES, which enforces speeding by measuring average travel speed over the section has been recently introduced. Although these two types of ASES have been deployed around the world, effec-tiveness of them is still on the subject of debate. In light of this, the present research seeks to analyze the effects of each ASES on traffic behavior and safety. To this end, Empirical Bayes (EB) Approach was used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raffic safety, and detailed traffic data were analyzed to unveil the behavioral changes in traffic flow. The analysis shows that drivers tend to slow near the enforcement locations. This slowing pattern, in turn, could diminish crash occurrences near the enforcement locations while the deceleration upstream indeed increase the crash occurrences. As a result, mere 7% reduction in crash occurrence was observed after the installation of spot ASES. Meanwhile, 47% reduction in crashes was observed where section ASES were installed by stabilizing traffic speed over the section. The outcomes show that both types of ASES have positive effects on traffic safety. In spot ASES, however, unstable traffic flow in the upstream segment of the spot ASES due to kangaroo effect was found to be room for improvement. On the other hand, the section ASES can stabilize traffic flow along the en-forcement section and, consequently, reduce traffic crashes significantl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ection ASES has more beneficial effect on traffic safety and traffic flow than the spot ASES, suggesting that the sec-tion ASES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introducing ASES as speeding countermeasure.

과속은 교통안전의 대표적 위험요소로서, 교통사고의 발생 확률 및 사고 시 부상 위험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과속에 의한 교통사고 및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무인과속단속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시스템 도입 초기에는 단속 지점을 통과하는 차량의 순간속도를 측정하여 단속하는 지점단속 시스템이 설치되었으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보급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단속 지점에 대한 정보가 차량용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교통표지판 등을 통해 제공되면서, 이에 대한 회피거동(Kangaroo Driving)이 발생하여 교통안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광역적 과속 관리 및 회피거동 방지를 위해 평균속도를 기준으로 과속 유무를 판단하는 구간단속 시스템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들 두 가지 단속시스템 모두 국내o외에서 널리 보급되고 있으나, 각 시스템이 지니는 교통안전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 중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시스템이 교통 흐름과 교통안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정량적 자료와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면밀히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무인과속단속시스템 도입에 따른 교통안전 개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경험적 베이지안 방법(Empirical Bayes Approach)을 이용하였으며, 안전도 변화 원인 도출 및 결과에 대한 논거 제시를 위해 교통류 분석을 수행하였다. 지점단속 시스템에 대한 분석 결과 약 7%의 사고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간단속의 경우 약 47%의 사고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지점단속 시스템은 단속 지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안전도 개선 효과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속 지점의 상류부에서는 사고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루프 검지기 자료 및 차량 궤적 자료를 이용해 교통류 분석을 수행한 결과, 지점단속 카메라 앞에서 실제로 회피거동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구간단속 시스템 내에서는 차량속도 평균 및 분산이 크게 줄어들어, 정온화 된 교통 흐름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위 분석 방법을 통해 지점단속 및 구간단속 시스템 모두 전반적인 교통안전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지점단속의 경우 단속 회피거동으로 인해 상류부에 불안정한 교통류가 발생하고, 오히려 해당 지점의 사고 발생 확률을 높이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구간단속은 비교적 긴 구간에서 교통류의 안정화를 유도하여 사고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점단속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폭의 사고 감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무인과속단속시스템 도입 시 구간단속 시스템 도입에 대한 적극적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실제 교통사고 발생을 줄여 교통안전 개선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T 14011
형태사항 iv, 44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심지섭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i-Tae Ja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장기태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조천식녹색교통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37-42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