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Understanding digital divide: An empirical test of digital access model for international comparisons = 디지털 격차의 이해: 국제 비교를 위한 디지털 접근성 모형의 실증적 연구
서명 / 저자 Understanding digital divide: An empirical test of digital access model for international comparisons = 디지털 격차의 이해: 국제 비교를 위한 디지털 접근성 모형의 실증적 연구 / Young-Hoon, Chang.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686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TM 1401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global networked society brings advantages to many. It allows people to interact and connect as well as work and collaborate with others. It facilitates the exploration of opportunities that are otherwise difficult, if not impossible, without the presence of the Internet. While many benefit from the digital age, some are at a disadvantage, thus creating the problem of digital divide. Digital divide between countries is a critical phenomenon separating the countries that "have' (mostly developed countries) from the countries that 'have' not (mostly developing countries). It places developing countries in a disadvantage position economically, politically, and socially that in turns affects the life and social well-being of the citizens. Current understanding of digital divide is limited by usage of secondary data which prompts scholars to call for more theoretical-based empirical research. Another salient issue in digital divide is gender inequality. Many information development studies contend that the gap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terms of using, adopting, and utilizing IT affect their lives in some ways. Therefore, digital divide or digital inequality issues have critical effect on digital inclusion of a society, a nation, and individuals’ well-being. Since the key to reduce digital divide is to increase people’s access to ICT, this dissertation examines individual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online activities. The first essay empirically tested the effect of country development index and gender differences on digital divide. It explored internal and external components of digital access. Survey data from Cambodia, Iran, and South Korea showed that country development index has significant effect on external digital access while gender differences significantly impacted internal digital access. The second essay developed and empirically tested a 3-tier ICT access model to determine the effect of ICT development on intention to participate in online activities among citizens i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The model was founded on three existing research frameworks. In addition, the study theoretically cla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four types of ICT access and how they contribute to intention to participate online. Survey data of university students from Korea and Cambodia was collected. The results confirmed the effect of ICT development on citizens’ intention and isolated key factors that differentially impact the two countries. Technological access was found to impact extrinsic motivational access and skills access. Social access influenced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al access and skills access.

전세계가 하나의 네트워크 사회로 빠르게 연결되면서 사람들은 인터넷을 통해 전세계 곳곳에 흩어져 있는 많은 사람들과 신속하고 편리하게 상호간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게 되었고, 공동의 관심사들을 위해 정보를 공유하고, 참여하여 협력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인터넷으로 연결된 사회가 아니라면 어렵거나 불가능 할 수 있는 많은 일들을 처리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네트워크 사회가 주는 많은 혜택과 기회들이 많은 사람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더 편리한 삶을 추구하게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 곳곳에는 아직도 이러한 혜택과 장점들을 누리지 못하는 집단과 개인들이 존재한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도 아직도 많은 개인들과 집단 그리고 국가에서 접근 기회를 가지지 못하고, 소외되고, 기회로부터 배제된 이들이 존재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회와 혜택을 가진 자들과 가지지 못 한자들에 대한 정보통신기술의 불평등 이슈가 바로 디지털 격차이다. 디지털 격차의 이슈 중에는 글로벌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가진 자들인 선진국들과 가지지 못한 개발도상국과 후진국들간의 국가간 디지털 격차가 있다. 이러한 국가간 디지털 격차는 스마트기기의 보급과 네트워크 고도화의 급격한 발전으로 그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다. 특별히 디지털 격차와 디지털 불평등은 개발도상국과 후진국들의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더 나아가서는 개인들의 삶과 사회적 웰빙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해가 갈수록 심화되고 복잡해지고 있는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현재까지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현재까지의 연구들이 디지털 격차 연구들의 토대를 닦고, 격차를 줄이는 데에 많은 기여를 해왔다고 하는 데에는 이견이 없지만, 전세계적으로 사회와 정보통신기술 생태계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이차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최근 많은 디지털 격차와 정보기술 개발 관련 학자들은 현재까지의 연구방식과 이론적 토대가 매우 한정적이고 한계가 있음을 인정하고, 새로운 이론 기반의 방법론과 사용자 기반의 실증적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디지털 격차연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다른 연구주제로 성별간의 디지털 격차가 있다. 사회가 발전하면서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고, 여성의 인권과 사회진출이 많은 진보를 보여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많은 나라에서는 성별간의 불평등이 존재하고 있다. 특별히 여성들과 남성간에 정보시스템의 사용에 있어서 현재까지도 여성들이 불평등과 차별을 겪고 있음을 많은 학자들이 연구들을 통해 증명하였고 또한 성별간 디지털 격차 연구의 지속적인 연구 필요성과 개발대상국과 특정문화를 가진 지역에 대한 성별간 연구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디지털 불평등인 디지털 격차는 나아가 국가, 사회, 개인의 디지털 통합과 사회통합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이슈이기도 하다. 최근까지도 정보기술 개발 및 정보시스템 분야의 디지털 격차 연구들에서는 가진 자들과 가지지 못한 자들의 격차를 해소하는 열쇠로 디지털 접근성에 주목하고 많은 연구들을 진행해 왔다. 그러나 디지털 접근성 연구에서도 이차 데이터와 질적 방법론을 사용한 연구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적이고, 복잡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디지털 격차 연구와 디지털 접근성 연구를 위해 접근성을 기존의 연구들을 토대로 네 가지의 접근성으로 세분화 하고, 다차원적인 네 가지의 접근성이 개인들의 온라인 행위 참여의도와 더 나아가 디지털 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는 실증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에세이에서는 디지털격차와 디지털 접근성에 대해서 정보통신 개발 지수와 성별간 격차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는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디지털 접근성을 외적, 내적 접근성으로 나누고, 외적 접근성은 기술적 접근성과 사회적 접근성으로 나누어서 개인들의 외부 환경인 사회와 국가에서 주어지는 접근성을 개체 기반 신념/태도 접근성으로 정의하고 세분화 하였다. 내적 접근성은 동기적 접근성과 기능적 접근성으로 나누어서 정의하고 개인들의 내부에 가지고 있는 행위 기반 신념으로 나누어서 연구하였다. 연구 표본은 설문조사 방식으로 정보통신 개발지수가 낮은 하위 그룹에 속하는 캄보디아와 중간 그룹인 이란 그리고 높은 그룹인 한국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이러한 정보통신 개발지수의 차이를 가지고 있는 세 나라간의 디지털 접근성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는 각 나라의 성별간에도 기능적 접근성과 온라인 참여 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두 번째 에세이에서는 첫 번째 에세이의 연구를 기반으로 접근성을 위한 이론적인 모델인 3단계 정보통신기술 접근성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개발도상국인 캄보디아와 선진국인 한국의 표본을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접근성 모형은 세 가지의 기존 정보시스템 관련 연구 이론과 모형들에 대해 문헌연구와 이론적 연구들을 토대로 개발되었다. 이를 통하여 이론적으로 네 가지의 내o외부 접근성 변수와 개인들의 온라인 행위 참여의도간에 인과 관계를 증명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는 기술적 접근성은 사용자들의 외적 동기 접근성과 기능적 접근성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발견하였고, 사회적 접근성은 내외적 동기 접근성과 기능적 접근성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각기 다른 접근성들이 경제개발 및 정보통신개발 지수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두 나라간에 상이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 이러한 두 에세이의 결과를 토대로 관련 학술적 시사점과 실무적, 정책적 시사점 그리고 미래 연구 주제들에 대해 제언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TM 14012
형태사항 vi, 89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장영훈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yeong-Cheol Par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박명철
수록잡지명 : "A three-tier ICT access model for intention to participate online: a comparison of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Information Development, online first, 1-17(2014)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74-86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