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DEA 분석을 통한 국내 제약 산업 및 기업의 R&D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measurement of firm-level and industry-level R&D efficiency by using DEA analysis for korea pharmaceutical industry
서명 / 저자 DEA 분석을 통한 국내 제약 산업 및 기업의 R&D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measurement of firm-level and industry-level R&D efficiency by using DEA analysis for korea pharmaceutical industry / 김희호.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625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TM 14008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Pharmaceutical industry have several important features that a high portion of the funds is allocated to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it needs a longer time to get a commercial product from R&D and it has a high failure rate. Due to its unique characteristics, it is difficult to measure R&D efficiency compared to other manufacturing industries. In order to measure R&D efficiency of Korea pharmaceutical industry, the analysis is carried out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In general, DEA is a very powerful analysis developed by Charnes, Cooper and Rhodes(1978) for measuring the relativ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with multiple inputs and outputs. We selected top 10 Korea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employed one input and three outputs with time lag(8 years) as variables. The input taken is a gross expenditure on R&D and the outputs taken are patents granted to residents, sales revenue and operating profit. Through the efficiency measurement, we evaluate “Firm level and Industry level R&D efficiency” change of Korea pharmaceutical industry in the decade of 1999-2003 for each firms and industry. As a result, we discover that the R&D efficiency of Korea pharmaceutical industry has steadily gotten worse throughout the study period.

제약 산업은 전통적인 장치 산업과 달리 연구 개발에 대한 집중도가 높고, 연구 성과를 확보하기까지 장시간이 소요되며, 연구 개발의 실패 확률이 기존 장치 산업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산업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제약 산업의 연구 효율성 측정은 타 산업 대비 상대적으로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타 산업과 다른 특성을 보유한 제약 산업의 firm level과 industry level의 연구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 자료 포락 분석(DEA: data envelopment analysis)을 활용하였다. 측정 변수로는 R&D 투자비를 산입 변수로, 매출, 영업이익, 특허 출원 현황을 산출 변수로 적용하였으며, 연구개발기간이 긴 제약 R&D의 특성을 반영한 time lag(8년)를 적용하여 R&D 투자비(산입 변수) 기준 1999~2003년까지의 연도별 decision-making unit을 결정하고 연구 효율성 추이를 도출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제약 선도기업 및 산업의 효율성을 제약 선진국(구미 및 일본) 기업들의 효율성과 Time series 분석, Cross section 분석, Panel 분석등의 다양한 각도에서 상대 비교함으로써, 국내 제약 산업의 경쟁력을 연구 개발 효율성 관점에서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제약 산업의 R&D 효율성 측면에서의 경쟁력은 구미 및 일본 제약 산업 대비 현저히 떨어져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시계열적 분석의 경우에서도 연도별 연구 효율성 감소 추이가 구미 및 일본 대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제약 산업이 innovation 성향이 높은 고부가의 신약 개발에 집중하기 보다는 복제약 위주의 연구 개발이 주를 이루는 연구 개발 성향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며, 향후 국내 제약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신약 개발 비율이 높아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TM 14008
형태사항 vii, 66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Hui-Ho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갑수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arp-Soo Kim
부록 수록 : 1, Data.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학과(기술경영전문대학원),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63-66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