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Contingency factors framework for an e-government governance approach = 전자정부 거버넌스 형태 변화에 따르는 상황요인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서명 / 저자 Contingency factors framework for an e-government governance approach = 전자정부 거버넌스 형태 변화에 따르는 상황요인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 Pablo David Zamora Barrantes.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618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TP 14009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face important challenges by trying to define what could be the most efficient governance design to conduct their e-government development. To effectively implement e-government, a country requires a comprehensive governance design that needs to be dynamic and based on the contextual characteristics, so as a result, issues such as authority and accountability can be assigned properly.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use structural contingency theory to elaborate an e-government governance framework that may orientate decision makers to design governance in a way that is dynamic and coherent to their contexts. Three main processes were conducted. Process one identified what may be the e-government governance contingency factors, required to describe context; process two applied a Delphi method to a Korean expert panel to study the fluctuations of the factors and their importance according to each e-government maturity stage, describing context, which by contingency theory allowed the generation of governance contingency propositions that were used to construct the research’s framework; process three conducted a case study in a top performing country, Singapore, to validate the framework’s recommendations. Overall results showed that contingency factors had a stable growth tendency according to the e-government maturity, which based on the contingency propositions is equivalent to an e-government governance design that goes from a level of centralization to a level of decentralization, running in parallel with a country´s e-government maturity. The implications may be valuable for the governance design of countries implementing e-government located at the different stages of maturity, may contribute to the e-government governance study with the proposed framework, and could be added to the governance evolution discussion by arguing that highest performance is associated with a specific e-government governance evolution pattern.

전세계적으로 대부분의 정부들은 그들의 전자정부 발전 상황과 형태에 따라 가장 효율적이며 적절한 지배구조 (Governance)를 디자인 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임과 동시에 중요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효율적으로 전자정부를 정부에서 수행하기 위해서 각 국가들은 역동적이며 상황적 특징에 적합한 광범위한 지배구조를 필요로 하며, 이는 권력과 책임의 적절하게 정부 내 지배구조에 배정하는 이슈와 연결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조적 상황이론 (structural contingency theory)’를 활용하여 전자정부 지배구조 프레임워클 제시 해, 정부의 의사결정자들에게 각 정부의 상황과 역동성을 고려 한 지배구조 형태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 크게 세가지 과정이 수행 됐다. 첫 번째로는 전자정부 지배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 요인들을 문헌 조사를 통해 선별 해 냈다. 두 번째로는 한국의 전자정부 전문가들을 통해 델파이 방법론 (Delphi method)을 수행 해 각 상황요인들이 전자정부 발전 단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며 경향성을 갖는지에 대해 조사했으며, 이렇게 조사된 상황요인들의 형태적 변화는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프레임워크에 델파이 결과를 토대로 제안됐다. 마지막으로 전자정부 분야에서 높은 성과를 나타내고 있는 싱가포르의 사례 분석을 통해 제시 된 본 연구의 프레임워크를 검증했다. 분석 결과, 상황 요인들은 전자정부 발전에 따라 대체로 지속적인 증가의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자정부 지배구조 프레임워크와 같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전자정부 발전의 형태에 따라 ‘중앙 집중화 (Centralization)’ 에서 ‘분권화 (Decentralization)’로 정부의 형태가 변화 해 가는 것에 대해 설명을 해 준다. 본 연구는, 각 국가의 전자정부의 발전 상황에 따라 전자정부를 수행하는데 있어 제안된 프레임워크를 토대로 적절한 지배구조에 대해 제시를 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전자정부 지배구조 발전의 패턴과 연관되어 정부의 지배구조 상황에 대해 상황요인을 토대로 충분한 설명이 가능하게 한 것에 그 의미가 있다 하겠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TP 14009
형태사항 ix, 90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데이비드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ae-Jeung Rh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노재정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글로벌IT기술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References : p. 80-87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