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Effects of alternative coding methods on computer skill acquisition: text coding vs. image coding vs. procedural coding = 컴퓨터 기술 습득에서의 대안적 부호화 방법에 대한 효과: 텍스트 부호화, 이미지 부호화, 절차적 부호화의 비교
서명 / 저자 Effects of alternative coding methods on computer skill acquisition: text coding vs. image coding vs. procedural coding = 컴퓨터 기술 습득에서의 대안적 부호화 방법에 대한 효과: 텍스트 부호화, 이미지 부호화, 절차적 부호화의 비교 / Jin-Cheul Jang.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589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KSE 12009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n recent years, fueled by the advent of advanced technologies and the need to update one’s knowledge to catch up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e-Learning has become not only widespread but also mainstream. Ob-servational learning is commonly engaged when users learn via an e-Learning system as video-based lectures are offered by the system. Prior research has shown that observational learning can be improved and strengthened via coding activities, but it is unclear which coding approach should be used for different types of learning outcomes. In this research, we compared the efficacy of alternative coding schemes for different learning outcomes in an e-Learning context. In particular, we examined text coding vs. image coding vs. procedural coding for declarative knowledge (comprehension), procedural knowledge (skill compilation), affective learning (self-efficacy, user perceptions with regard to the target application), and knowledge structure. A laboratory experiment was conducted at a research university in Korea involving eighty two trainees who received video-based lectures on Adobe Photoshop CS4. The experiment conditions consisted of control group, text coding only group, text coding and image coding group, and procedural text coding and image coding group.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e highest level of learning for the combined coding conditions (text coding and image coding group, procedural text coding and image coding group), but each of the combined coding conditions was effective for different learning outcome. Text coding and image coding was the best setting for the acquisition of declarative knowledge, while procedural text coding and image coding was the best setting for the acquisition of procedural knowledge. There were also interesting differences produced in affective learning outcomes and knowledge structures. In short, these results are in support of dual-coding theo-ry, which posits that visual codes and verbal codes of information are processed differently along distinct chan-nels and memory is enhanced by reinforcing both channels. However, the results go further by highlighting distinct effects of different coding combinations on different learning outcome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target knowledge desired, the results show that different coding schemes should be employed. The proposed coding methods can be used to supplement the traditional observational learning processes used in conjunction with video lectures offered via e-Learning systems. This research is one of the first studies about how observational learning with regard to computer applications can be improved through alternative coding schemes and these methods can be used in a wide range of settings where observational learning is the primary vehicle for learning activities.

최근의 정보기술(IT)의 발달에 따라 컴퓨터를 활용한 이러닝 학습 방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동영상을 통해서 기술을 습득하거나 지식을 학습하는 데에 Modeling-based Technique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학습을 하는 것은 비용을 절감시키고 많은 학습자에게 한 번에 강의를 제공하는 장점은 있으나, 학습자들이 본 것을 기억하는 데에는 도움을 주기 어려웠다. 본 연구는 Bandura의 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을 이러닝 상황의 교육에 적용하여, 동영상 학습 후에 비구조적인 텍스트를 사용한 노트 정리, 이미지와 비구조적인 텍스트를 사용한 노트 정리, 그리고 이미지와 절차적인 지식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사용한 노트 정리 방법을 통해 학습자에게 관찰학습의 과정 중 하나인 기억 단계의 강화 방안에 대해 실험하였다. 8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Adobe Photoshop CS4 동영상 강의자료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 이해력 평가에서는 이미지와 비구조적 텍스트 또는 이미지와 절차적 지식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노트 정리에 활용했을 때 높은 성과를 보였다. 또한, 실습 평가에서는 이미지와 절차적 지식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활용했을 때 성과가 높았다. 비모수 통계와 T-test 등의 통계적 방법을 통해, 텍스트 노트 테이킹의 경우 실습 시험에서 그 차이가 유의하였고, 이미지와 텍스트 노트테이킹의 경우 이해력 시험과 실습 시험에서 그 차이가 유의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절차적 지식을 텍스트 형태로 이미지와 함께 노트테이킹한 경우 실습 시험과 지식구조 평가에서 그 차이가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관찰학습 절차와 기억 단계를 강화시킨 학습 결과가 관련이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는 시각적 정보와 언어적 정보를 동시에 처리한다는 Paivio의 이중부호 이론(Dual-coding theory)을 학습 과정의 기억 증진에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향후 이러닝 환경에 본 연구 모형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교육학, 심리학 등의 중요한 이론으로써 발전이 가능하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KSE 12009
형태사항 vi, 82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장진철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un-Yong Yi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문용
Including Appendix : 1, Experimental Materials. - 2, Ad-hoc Testing. - 3, The Examples of the Subject's Note. - 4, Request Form for Institutional Review Board.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지식서비스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42-49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