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핵분열물질생산금지조약 현황이슈 및 국내 원자력정책에 미치는 영향 고찰 = A study on fissile material cut-off treaty & its impact to Korean nuclear policy
서명 / 저자 핵분열물질생산금지조약 현황이슈 및 국내 원자력정책에 미치는 영향 고찰 = A study on fissile material cut-off treaty & its impact to Korean nuclear policy / 서형민.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3].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566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NE 1301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n 1993, US President Bill Clinton addressed the issue of fissile materials in his statement to the UN General Assembly. He stated that: "The increasing stock of fissile materials is elevating the danger of nuclear terrorism in all nations." Shortly after that statement, the UN General Assembly adopted resolution 48/75L, which was titled "Prohibition of the Production of Fissile Material for Nuclear Weapons or Other Nuclear Explosive Devices." This resolution raised the need for negotiation (conducted by an appropriate international body) for a non-discriminatory, multilateral, effective and verifiable treaty banning the production of fissile material for nuclear weapons or other nuclear explosive devices. In the following year 1994, the Conference on Disarmament (CD) began discussion regarding the Fissile Material Cutoff Treaty (FMCT). As of 2013, however, negotiations have never been successful to reach a stage where official and practical discussions among the member states of the CD could be initiated. In order to tackle this prolonged deadlock, the first committee of the UN General Assembly approved a resolution in December 2012 which called on the secretary-general to establish a group of governmental experts (GGE) to move forward on the FMCT negotiations based on input collected by the GGE itself from member states. Given that the ROK has not been actively involved in past efforts for the FMCT negotiation and has officially expressed its desire to be a member of GGE, it is never too early to see through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 of the FMCT thoroughly so that the ROK comes up with better tactics on the FMCT in accordance with the ROK`s stance regarding the ongoing negotiation to conclude a successor agreement of the current US-ROK agreement for peaceful nuclear cooperation. This study shows that unless the ROK abandons its pursue of pyro-processing and uranium enrichment right for independent fuel production in its negotiation with the US or ignores the FMCT, the case that fissile material production for civil purposes and existing stocks of fissile material become subject to the FMCT is not acceptable to the Korean government.

1993년 당시 미국대통령이었던 빌 클린턴은 플루토늄과 고농축우라늄의 재고증가가 전 지구적 핵테러 위협을 증가시키고 있음을 지적하고 핵분열성 물질의 생산을 금지시키는 다자간 조약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이에 동의한 국제사회가 같은 해인 1993년 UN총회를 통해 ‘핵무기 및 핵폭발장치의 제조를 위한 핵분열성 물질 생산 금지를 위한 비차별적이고, 다자적인 조약 필요’를 골자로 하는 결의안 48/75L을 채택하고 1995년 제네바군축회의(CD: Conference on Disarmament)가 FM(C)T(Fissile Material (Cut-off) Treaty) 논의를 위한 위원회를 발족하면서 이를 위한 구체적인 조치가 취해지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그로부터 20년이 지난 2013년 현재까지 FM(C)T 협상은 공식적으로 시작조차 되지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답보상태인 조약추진 상황을 타계하기 위해 2012년 12월, UN총회 제1위원회는 67번째 세션을 통해 FM(C)T 협상 추진을 위한 2014년 정부전문가 그룹(GGE: Group of Governmental Experts)의 설립을 골자로 하는 결의안을 채택하였다. 2000년대 후반부터 간헐적으로 FM(C)T 관련 회의에 참여해왔던 우리나라는 뒤늦게나마 FMCT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2013년 4월 GGE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러한 시점에서 FMCT 현황과 이슈를 분석하고 현재 추진되고 있는 한미원자력협력협정 개정에 대한 우리나라의 입장과 일직선상에서 FMCT 협상에 전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입장정리는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가 FMCT 성립시에도 그에 대한 가입을 철저히 배제하거나 한미원자력협력협정 개정과정에서 파이로프로세싱과 농축권한 확보를 포기하지않는 이상 민간용 핵분열물질 생산금지와 현재 핵분열물질 재고량 검증이 FMCT에 포함되는 상황은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절대 수용불가함을 보여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NE 13012
형태사항 iv, 31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Hyung-Min Se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조규성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Gyu-Seong Cho
공동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강정민
공동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ung-Min Kang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원자력및양자공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29-30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