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한글의 창제원리를 기반으로 한 인터랙티브 키네틱 한글 타이포그래피: 동적변화에 따른 사용자 감정변화를 중심으로 = Interactive dynamic Hangul typography based on the Hangul design principles: a study on the reflection of user’s emotion according to kinetic variation
서명 / 저자 한글의 창제원리를 기반으로 한 인터랙티브 키네틱 한글 타이포그래피: 동적변화에 따른 사용자 감정변화를 중심으로 = Interactive dynamic Hangul typography based on the Hangul design principles: a study on the reflection of user’s emotion according to kinetic variation / 김은수.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430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CT 1203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Current digital font is still under the traditional paradigm of the times of metal type press. Digital font is usually used for desktop press in this digital era. However, the new way which digital font should progress toward is no longer limited to the desktop press only. Nowadays, e-mail or SMS, and chatting are widely used for mundane communication, but digital font as the main element of these media neutralizes the meanings or intentions that people want to deliver to the others. The user’s senses that become blurred in letters make speakers’ hidden intentions and contexts not graspable. Especially, current literal communication on the Internet environment is not enough to express ideas and feelings properly or to deliver information, and therefore often generates communication errors between communicators, since it makes communicators not to see other’s nonverbal behavior like facial expressions or gestur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build a prototype of Hangul input system that moves in a basic and primitive in real time, and to reveal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moving font and effectiveness of emotional delivery, and ultimately sees the possibility to improve quality of communication fundamentally through usability test.

현재의 디지털 폰트는 주로 데스크톱 출판 인쇄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등 금속활자 시대의 전통적인 패러다임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 디지털 폰트가 나아가야 할 새 방향은 더 이상 데스크톱 출판에만 국한되어있지 않다. 오늘날에는 이메일이나 문자, 채팅이 일상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이러한 매개체들 안에서 디지털 폰트는 사람들이 상대방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나 의도를 중성적으로 만들어 버린다. 이처럼 문자안에서 흐려지는 사용자의 감각들은 글자 뒤에서 말하는 사람의 숨겨진 의도와 맥락을 파악할 수 없게 한다. 특히 상대방의 감정과 정서를 전달하는 비어문적 행동으로서의 얼굴표정 혹은 제스처 등을 보지 못하는 상태에서의 소통, 즉, 현재의 온라인상에서의 문자적인 소통은 제대로 된 의사표현이나 정보전달, 정서표현을 하는데에 모자람이 있고 이 한계를 통해서 메세지 송신자와 수신자 상호 간에 오해가 생기기 쉽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입력이 가능한 움직이는 한글입력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구축하고 글자의 가장 기본적이고도 원시적인 움직임을 통해 글자에 나타나지 않는 인간의 비언어적인 상태와 기본정서를 전달 할 수 있는지 그 상관관계를 알아내려 하였다. 한글을 다룸에 있어서는 한글의 조형원리와 창제원리를 참고하였고 글자의 조형적요소와 시간적요소를 변화시킴으로 인해 사용자의 숨겨진 의도를 전달하게 되어 본질적으로는 커뮤니케이션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유저테스트를 실시하여 글자의 움직임에 어떠한 감정이나 감성이 맵핑될 수 있는지를 유추할 수 있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12032
형태사항 vii, 80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Eun-Soo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원광연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wang-Yun Wohn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75-78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