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스마트패드 한글타이포그래피 인터페이스에 대한 가독성 요인평가 및 포뮬러 개발에 관한 연구 = Korean typography interface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legibility formula in smartpad device
서명 / 저자 스마트패드 한글타이포그래피 인터페이스에 대한 가독성 요인평가 및 포뮬러 개발에 관한 연구 = Korean typography interface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legibility formula in smartpad device / 정주연.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338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GCT 1200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study evaluates the legibility of Korean typography like font type, size, column width and leading in digital smart-pad devices using eye-tracking experiments. A total of 11 different stimuli were used to test readability of Korean typography interfaces in news applications. These stimuli were taken from the top three smart-pad news applications in Korea (Chosun, Joongang and Donga Ilbo). Fifty-two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ye-tracking experiment. First, there a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Gothic and Courier fonts in performance. However, wider column widths revealed a better reading performance than small column widths. Second, Gothic fonts recorded low concentration compared with Courier fonts, and larger font sizes showed an increase in concentration. In a case of regression, Courier fonts recorded higher eye regression rates than Gothic fo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ye regression rate according to font size, column width and leading. The degree of tension in pupil size differs by font and column width. Pupil tension with Gothic fonts was higher than with Courier fonts. Wide column widths and leadings both resulted in high tension results. Based on these findings, 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produce a legibility formula. As a result, seven optimized equations were derived from all possible combination of variables. This formula can be applied to various mobile smart-pad device readership attributes. This study reveals new aspects of readability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due to this particular eye-tracking methodology and the development of the readability index formula. Results reveal that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legibility is not simply a matter of reading speed; it must be coupled with the simultaneous measurements of eye attention and cognition activities. To read digital text quickly, subjects must enlarge their pupil size, correlating with increased tension of pupils. This finding was not seen in previous studies and implies that future readability studies must consider speed of reading together with eye fatigue and input of cognitive resources.

본 연구는 스마트패드 미디어의 타이포그래피와 관련된 수많은 변인들 중 타이포그래피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글꼴 종류와, 크기, 칼럼의 넓이, 행간을 각각 2~3가지의 척도로 구분해 시선추적 실험을 통해 가독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국내에서 시판 중인 스마트패드 상위 2가지(아이패드, 갤럭시탭) 모델 상에서 구동되는 앱중 대표적인 뉴스앱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앱의 현재 서비스 중인 타이포그래피 요소를 분석한 후 총 11가지의 변인으로 실험자극을 구성해 52명의 피험자에 대한 측정 및 분석결과 가독성의 수행도, 집중도, 역행도, 긴장도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우선 글꼴 요소에 따라 고딕과 명조 두 요인간의 가독성 수행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대응표본 T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해본 결과 글꼴간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칼럼의 넓이에 따른 수행도의 변량 분석 결과 넓이가 넓을수록 수행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집중도의 경우 고딕과 명조 중 고딕(돋움)체가 명조(굴림)체보다 평균 응시집중도가 낮았으며 글씨크기가 커질수록 집중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칼럼의 넓이에 따른 집중도의 변량 분석 결과 중간 정도의 넓이에서 가장 높은 집중도를 보였다. 역행도의 경우 고딕과 명조 중 명조(굴림)체가 고딕(돋움)체보다 역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글자의 크기와 칼럼의 넓이, 그리고 행간격에 따른 가독성 역행도는 통계적 유의확률이 낮아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긴장도는 고딕과 명조 중 고딕(돋움)체의 동공사이즈가 명조체보다 긴장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칼럼의 넓이에 따른 긴장도는 칼럼이 넓을수록 긴장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행 간격에 따른 긴장도 또한 칼럼 넓이와 마찬가지로 행간격이 좁을수록 긴장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총 11개 변인들을 종속변인군과 독립변인군으로 분류하여 독립변인군과 종속변인군 간의 정준상관관계를 토대로 가독성 포뮬라를 도출해 보았으며 가장 가독성이 높은 조합에서 가장 낮은 조합까지의 순서를 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가독성 조합은 모바일 스마트패드의 다양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에서 보듯, 시선추적 방법을 활용한 가독성 측정 및 가독성 지수(Formla) 개발은 몇가지 점에서 기존 연구에 비해 새로운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우선, 가독성(legibility)의 개념과 정의가 단순히 수행도, 즉 얼마나 글자를 빨리 읽느냐 하는 단순한 차원으로 볼 수 없다는 점을 발견했다는 것이다. 글자를 빨리 읽기 위해서는 우선 주의 집중이라는 인지활동이 따라야 하는데 본 연구결과 글자를 빨리 읽기 위해서는(즉 수행도가 높아지기 위해서는) 동공사이즈가 커져서 눈의 긴장도가 높아져야 하며, 이에 상응해 시선고정의 횟수 또한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발견은 기존의 연구들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사실로 향후 가독성 연구가 양적 속도 뿐만 아니라 안구피로도나 인지자원의 투여같은 질적 측면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둘째, 본 연구는 가독성 측정의 방법론으로 시선추적장치와 같은 객관적 측정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새롭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가독성 지수(Formula) 개발의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패드 상에서 두 손가락을 벌려서 글자의 크기가 커지는 상황이나 가로 세로가 자동적으로 바뀌는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포뮬라를 이용한다면 스마트패드로 뉴스나 콘텐츠를 제공하는 다양한 업체들에게 향후 앱설계시 최적 글꼴, 크기, 행간의 조합을 제시함으로써 자동으로 독자에게 적합한 가독환경으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몇가지 연구의 제한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개발, 제시된 방법론이 후속 연구의 기초 방법론과 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가 당장 스마트패드의 뉴스앱등 다양한 콘텐츠에 즉시 적용되기는 힘들겠지만 해마다 새로운 기기와 기능들이 양적으로나 속도면으로나 급증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오히려 본 연구는 그러한 개발자들에게 일종의 방법론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산업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CT 12001
형태사항 v, 117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Choo-Youn Cho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명석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yung-Suk Kim
부록 : 가독성 측정을 위한 기사 샘플.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102-109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