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Understanding online knowledge contribution: social learning and social knowledge perspective = 온라인 지식 기여에 관한 연구: 사회학습이론과 사회지식의 관점에서
서명 / 저자 Understanding online knowledge contribution: social learning and social knowledge perspective = 온라인 지식 기여에 관한 연구: 사회학습이론과 사회지식의 관점에서 / Hye-Rin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303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MS 1100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Online open knowledge sharing is the idea that the Internet can promote the aggregation and dissemination of useful knowledge from a potentially large number of people. Starting from the knowledge sharing idea, various types of online open knowledge sharing services have provided the central platform for users to interact with each other, share their knowledge, and even jointly create new knowledge. Since sharing knowledge in these services is voluntary and involves no material compensation,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why individuals participate in knowledge sharing and ways to encourage them to contribute more actively. However, previous studies focus too much on social aspects and do not well explain the active knowledge sharing in countries with relatively low social capital.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rive two research questions: 1) what framework can better explain online knowledge contribution? and 2) what factors influence online knowledge contribution? The study draws on both social learning theory and the social model of knowledge creation to investigate the overall antecedents of knowledge contribution and to examine three facets, user-oriented, service-oriented, and community-oriented knowledge contribution behavior. To accomplish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e verify the theoretical fit of social learning theory and social model of knowledge creation in the online knowledge sharing context and examine which knowledge sharing antecedents motivate people to contribute to knowledge sharing services. After developing the preceding factors, we link the related factors to motivation and to knowledge contribution behavior. We then verify each variable and path using a survey and the PLS analysis. The primary sample was online knowledge sharing contributors. A survey instrument was developed by applying measures that had been validated in prior works. Some modifications were made to fit them to the context of online knowledge contribution. For checking the adequacy of instruments and mitigating unforeseen problems, we conducted a pilot test and finalized survey questionnaire. The survey was distributed online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or a month.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artial least square method, a component-ba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analysis involved two stages; first, we assessed the measurement model for internal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then, we assessed the structural model. Broadly, we found that service-oriented, self-related, and community-related factors affect an individual’s motivation directly and/or indirectly and that intrinsic motivation is the key factor predicting behavioral intention to contribute one’s knowledge online by mediating various intrinsic and extrinsic factors and behavioral intention. This paper makes both academic and practical contributions. It uses social learning and social knowledge creation perspective to include personal, community-related, and service-related antecedents. With this new perspective, we expect to explain a part of knowledge contribution behavior that has not yet been explained in previous studies such as the use of cost-benefit exchange theory or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Moreover, whil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personal cognition or social networks, this study examines the integrative influence of social learning and social knowledge creation antecedents. Furthermore, this study applies motivational factors to mediate the integrative preceding factors and knowledge contribution behavior by working as one’s mental driving force. With this improved approach, the model can explain the relationships of various factors connected to behavior, mental arousal, and actual behavior. In addition, our findings offer guidance and insights for knowledge sharing service practitioners and managers who are trying to encourage users’ contributions.

온라인 오픈 지식 공유란 인터넷 상의 대중들이 온라인 상에서 유용한 지식을 더 자유롭게 나누고 전달하며 종합하는 것이다. 지식공유라는 개념에서 시작된 다양한 온라인 오픈 지식 공유 서비스는 사용자들이 소통하고 지식을 공유하며 심지어 새로운 지식을 공동으로 만들어내는 장(場)을 제공하고 있다. 이런 서비스에서 지식 기여 행위는 물질적인 보상이 제공되지 않는 자발적인 것이므로 어떤 이유로 온라인 상의 대중이 지식 기여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그들을 더 활발하게 지식 기여에 참가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사회적 측면에 편향되어 이루어져 사회 자본이 상대적으로 낮은 나라에서의 활발한 지식 공유를 잘 설명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1) 어떤 연구 프레임워크가 온라인 지식 기여를 기존의 연구보다 더 잘 설명할 수 있을 것인가? 2) 어떤 요소들이 대중의 온라인 지식 기여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라는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우리는 사회 학습 이론 그리고 지식 창출의 사회적 모델로부터 지식 기여를 총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선행 요소들을 추출한 후 사용자 관련, 서비스 관련, 그리고 커뮤니티 관련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사회 학습 이론과 지식 창출의 사회적 모델이 온라인 지식 기여 행동을 이론적으로 잘 설명할 수 있는지 그리고 선행 연구와 이론적 배경에서 도출한 선행 요소들이 지식 기여 행동에 대해 어느 정도 예측력을 갖는 지를 분석하였다. 선행 요소들과 동기 그리고 지식 기여 행동을 연결하여 연구 모델을 구성하였고, 이 모델을 설문 조사와 부분 최소 자승법을 사용하여 입증하였다. 설문 조사의 표본은 실제 온라인 지식 기여자들이었고, 설문 문항은 기존 연구에서 입증된 문항을 온라인 지식 기여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만들었다. 예비 설문을 통해 문항의 적절성과 예측하지 못한 문제들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최종 문항을 구성하였다. 설문은 온라인 상에서 한 달 동안 진행되었다. 최종 데이터는 요소 기반 구조 방정식 모델링 방법인 부분 최소 자승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측정 모형과 구조 모형의 두 단계로 이루어졌다. ` 이 과정을 통해 요소 모두가 총합적으로 개인의 동기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서비스 관련 요소와 커뮤니티 관련 요소는 주로 외적 기대에 기반한 동기를 통해 내적 동기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외부적 유인보다 내부적인 동기가 온라인 상 지식 기여 의도의 주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내부적 동기는 다양한 선행 요소들과 외적 기대를 행동적 의도와 매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 학습 이론과 지식 창출의 사회적 모델을 통해 사용자, 커뮤니티, 서비스를 총합적인 선행요소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관점을 통해 기존의 비용-편익 이론과 사회적 자본 이론 등으로 설명하지 못했던 지식 기여에 관한 부분을 설명하였고, 기존의 사회적 요소에 치우쳤던 연구를 사용자 관점과 서비스 관점을 더하여 보완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동기적 요소를 총체적 선행 요소와 지식 기여 의도의 매개 변수로 놓아 행위의 내적 원동력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내적 흐름은 심리동기를 자극하여 행동을 하게 하는 다양한 요소들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오픈 지식 공유 서비스에서 사용자들의 지식 기여를 증대하려는 서비스 관리자들과 실제공자들에게 향후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요소들과 아이디어를 제시해 줄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MS 11001
형태사항 vii, 94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혜린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Hang-Jung Z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조항정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과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73-91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