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사용자 창작물에 기반한 사용자 참여 디자인 프로세스의 기업 활용 = Study on practical use of user-participated design process based on user's creations
서명 / 저자 사용자 창작물에 기반한 사용자 참여 디자인 프로세스의 기업 활용 = Study on practical use of user-participated design process based on user's creations / 유환희.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2496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D 1100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se days, contents that created by a user are effecting to many industry fields such as advertisement, publication, and game industry. This movement is also shown in industrial design field. In production and development process, users generate ideas for and design new product for oneself, and then users provide the design work to company. The company manufactures the products according to users’ design. Consequently, users as a designer and other users make a purchase the products as they want and develop, and design. This design process could satisfy each user’s needs as well as have advantages of cost, competitive and scales for company. Most of all, it is valuable that the design process is initiated by users, and also managed by users. This is new opportunity in design field since a user becomes an active and main subject. Therefore,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new opportunity, and sets up the concept of user-led design process. This study aims to 1) examine current approaches on user participation in view of design; 2) establish comprehensive theory on user participation; 3) identify the gap between theory on user participation and practices; 4) establish new concept on user participation for implying current movement such as user-led design process, and for supplementing limitation of theory; and 5) proposing the guideline for a company when implements and operates user-led design process effectively. This study conducts various approaches on user participation such as user involvement, participatory design, co-creation, co-production and co-design. These similar concepts are studied by qualitatively analyzing relevant literature, synthesizing the information and presenting some cases. These concepts are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n this study establishes an analysis table of similar concepts on user participation. The empirical research is conducted based on case study and company interview. Seven cases are reviewed by qualitatively analyzing relevant literature, and then four cases of them are studied by interview. Through the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understands current stage of user-led design process and limitations while the company operating. Also,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components for user-led design process, and examines the relations between components for user-led design process. The guideline has potential to be a manual for business and designers belong to business when establish the design system based on user-led participation.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guideline is useful to business which operates user-led design system, since the guideline works as checklist for conducting operating state.

최근에 사용자들이 직접 디자인한 결과물, 즉 개인의 창작물을 상품화하는 기업의 활동들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창작물 기반의 제품 생산 및 개발 과정은 기업 내부에서 수행해야 할 디자인 업무를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개인의 시간과 전문성 등을 투입하여 대신해 줌으로써 기업의 생산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게다가 참여하는 사용자들은 자신의 니즈(needs)에 부합하는 제품을 구매할 수 있으므로 기업의 충성도뿐만 아니라 제품의 만족도까지 높아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용자들의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디자인 참여 활동은 기존의 참여 관련 이론 체계에 수용되지 못하고 있어 이를 체계화하여 기존 이론 체계를 보완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자의 창작물을 활용하는 기업의 디자인 프로세스 및 행태를 학문적으로 새로이 정립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사용자 창작물 기반의 디자인 과정을 기존의 사용자 참여 접근법들 중 어떠한 이론으로 이해할 것인가 또는 기존 이론체계의 유사한 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자 참여에 관한 기존의 다양한 접근법들과 실제 사례들을 파악하고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후에 실증 연구로써 사용자 창작물 기반의 디자인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사례 조사 및 기업 인터뷰를 실시하여 이러한 디자인 행태가 실제 기업 환경에서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 지, 어떠한 요소들과 관계가 있는 지에 대해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 창작물 기반 디자인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및 요소들 간 관계에 관한 모델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사용자 참여에 관한 기존의 다양한 접근법들을 전체론적인 관점에서 비교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유사 접근법들의 이해를 돕는다. 아울러 이론을 실제 사례 화하여 적용할 때 가장 적합한 접근법들을 파악하는 데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주도적 디자인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정의하고 영향 요소들의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사용자 참여에 대한 현재 이론 체계들의 한계 영역을 보완하는 데 기여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D 11003
형태사항 vi, 112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Hannie Yu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남기영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i-Young Nam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110-112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