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 design of a cross-media 3.0 production model with a bridged narrative. = 연결형 내러티브 구조를 가진 크로스미디어 3.0 제작모델 디자인
서명 / 저자 (A) design of a cross-media 3.0 production model with a bridged narrative. = 연결형 내러티브 구조를 가진 크로스미디어 3.0 제작모델 디자인 / Si-Nae Ha.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2472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CT 11008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research investigates a structure of cross-media 3.0 productions and suggests a prototype to manage multiple contents through disparate media and to evaluate a specific production. In this environment, it is important to obtain the ability that organizes numerous media and delivers a variety of stories to each platform on time and within budget. A cross-media 3.0 production provides a ‘bridge’ and ‘navigation’ because the truest form of these productions drives the audience to use ‘Call-To-Action’. To realize these characteristic aspects, a cross-media production should have a directed and networked management system that leads the audience along a wellorganized path. The author examines the structure of five cross-media productions; ‘Scorched (AU)’, ‘The Truth about Marika (SW)’, ‘Emmerdale Online (UK)’, ‘Harpers’s Island & Globe (USA)’, and ‘True Blood (USA)’. These cases presents in context of (i) analyzing a fundamental structure of cross-media 3.0 surroundings, (ii) suggesting a cross-media 3.0 model with a bow-tie graph, and (iii) how to produce and distribute multi-layered contents across media. Based on this case investigation, I create a ‘Cross-Media 3.0 Manager’ whose tool aims at scheduling diverse media in preproduction stage and evaluating the whole process of productions. This paper attempts to outline of a cross-media 3.0 production and to predict the usefulness and necessity of this proposed model for potential cross-media producers.

이 연구는 크로스미디어 3.0의 제작 형태를 분석하고 다양한 미디어를 통합적인 시각으로 관리하는 새로운 모델의 프로토타입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크로스미디어 3.0 제작형태는 이전과 달리 기획단계에서부터 다양한 미디어를 통합적인 시각에서 구조화하고, 미디어들을 네트워크의 형태로 연결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이 환경 속에서 프로듀서들에게 필요한 능력은 여러 층의 이야기와 다양한 미디어를 정해진 예산 안에서 정확한 시간에 배포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크로스 미디어 3.0 제작 형태를 가지고 있는 다섯 개의 모델을 선정하여, 케이스 스터디를 진행한다. 이는 미디어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크로스미디어의 내부구조를 파악하는 크로스미디어 토폴로지 연구라 할 수 있다. 이 과정을 바탕으로 저자는 크로스미디어 3.0 소프트웨어의 프로토타입을 제시하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이 콘셉트의 유용성을 평가한다. 이는 마케팅 팀이 없는 작은 크로스미디어 회사에서 프로듀서들이 다양한 미디어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11008
형태사항 v, 62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하시내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Chung-Kon Shi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시정곤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 : p. 57-59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