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The synergy effect of the transactive memory an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on team performance : a socio-technical perspective = 팀 성과에 미치는 분산 기억과 지식 경영 시스템의 시너지 효과 : 사회-기술적 관점
서명 / 저자 The synergy effect of the transactive memory an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on team performance : a socio-technical perspective = 팀 성과에 미치는 분산 기억과 지식 경영 시스템의 시너지 효과 : 사회-기술적 관점 / Sue-Young Choi.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8].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9336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GSM 08010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0316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DGSM 08010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Knowledge management is becoming a critical business discipline as firms seek to enhance competitiveness in real time, creating value by utilizing knowledge. Even though there are a number of studies tha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processes and performance, there are very few studies that focus on team level. Recently, regular teams use both online and offline channels, and virtual work is as common as face-to-face work. A team can be the information processor for performing tasks and it thus requires knowledge related to these tasks. To explore team knowledge management, this dissertation incorporates the concepts of the transactive memory system (TMS) and IT support for KM (KMS) based on the socio-technical paradigm. Even though an IT system can support knowledge processes and provide a virtual workplace, social factors such as trust, reward, and transactive memory are crucial for successful KM in companies. To be clear, IT systems can help draw on a variety of specialized skills and knowledge. Furthermore, transactive memory supports the corresponding IT system in enhancing team performance. Teams need to assemble the breadth of expertise needed to solve complicated business problems. IT is a profound catalyst for the creation of these agile teams. IT support does indeed matter. A primary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teams facilitates knowledge sharing and application leading to team performance. In particular,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decipher the synergy effect of IT support on transactive memory. The empirical validation analysis employs 89 company teams. The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IT is more likely to foster collaborative knowledge processes among team members. It is also confirmed that teams can more productively cooperate by sharing and applying knowled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greater the proportion of expertise a team connected to IT, the more likely to productive outcomes will occur. Given that an IT system provides more flexible and efficient work environments, it also encourages knowledge sharing and application within and among work units. In addition, individual level study also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enablers and knowledge sharing based on the socio-technical view. In particular, this part illustrates the role of IT. Based on these two studies, this thesis helps set practical guidelines for facilitating KM practices that enhance performance.

오늘날 기업에서 지식은 경쟁력의 근원으로서, 많은 기업들은 지식 경영을 도입해서 추진해왔다. 기업에서의 지식 경영은 조직의 핵심 경쟁력을 키우고, 지식 공유와 활용을 통한 가치 창출에 기여해왔다. 그러나, 지식 경영 프로세스와 성과와의 연계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음에도 팀 수준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약했음을 볼 수 있다. 지식 경영을 활성화 시키는 요인으로 초기에는 단순히 IT가 중심이 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현재는 문화적 사회적 요인도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한국 기업에서는 근래 혁신 활동을 중심으로 팀 수준의 지식 경영 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팀 중심의 지식 경영 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조직 내의 공식 조직에게 지식 경영 활동과 의사 소통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공간을 부여하여 지식 활동을 독려하고 있다. 이렇게 조직 내에 구축된 지식 경영 시스템을 통해 팀들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의사소통 채널을 함께 가지는 하이브리드 조직의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지식 경영을 위한 IT 시스템은 조직 내에 보다 유연하고 효율적인 작업 공간을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식 활용과 공유를 통해 성과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여서, 팀 수준의 지식 경영을 활성화 하기 위한 팀 수준의 지식 경영 통합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사회적 기술적 관점을 팀 수준에 적용하여서, 팀 수준에 적합한 분산 기억 시스템 (TMS) 와 지식 경영을 위한 정보 기술 지원 이라는 지식 경영 동인을 제시하고, 이들과 지식 경영 프로세스와의 연계 관계와 팀 성과와의 연계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 모형에서는 조직과 심리학에서 연구되어온 분산기억시스템 (TMS)을 지식 경영 관점에서 통합 연구하였다. 분산 기억이란 누가 무엇을 아는지에 팀 수준의 메타메모리로서, 팀원들이 지식을 나누고 활용할 때, 정보 기술의 지원과 함께 누가 무엇을 아는지에 대한 인지적인 기억이 또한 중요함을 주목하였다. 또한 지식 경영을 지원하는 정보 기술이 이러한 팀 수준에 분산 기억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제시된 연구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 지식 경영을 수행하고 있는 89개 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팀 수준의 지식 경영에서 필요한 동인과 프로세스, 그리고 성과의 영향관계를 밝혔다. 89개의 팀은 지식 경영 시스템을 통하여 팀의 온라인 공간을 부여 받은, 대면과 온라인 채널을 함께 가진 하이브리드 팀의 성격을 가진 팀으로 한정하였다. 또한, 팀의 하이브리드적인 성격을 분석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로 인터뷰를 수행 하였다. 분석 결과, 분산 기억이 지식 경영을 위한 정보 기술 지원보다 지식 공유와 활용에 더 큰 영향관계를 주고 있으며, 두 동인 모두 양의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팀 수준의 지식 공유와 활용이 팀의 성과에 강한 양의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또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정보 기술 지원이 분산 기억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IT의 역할을 기존 이론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다. 즉, Rau 와 Jarvenpaa (1991) 가 제시한 정보 기술이 인간의 정신적 자원을 강화해 준다는 기존 이론을, 팀 수준의 지식 경영 관점에서 시스템이 분산기억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관계로 검증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팀 수준의 지식 경영을 추진하는데, 정보 기술이 지식 공유와 활용에 직접적인 양의 영향 관계와 더불어 분산 기억의 생성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또한, 팀 수준의 지식 경영을 수행 할 때 정보 기술의 또 다른 중요한 역할은 하이브리드 팀의 성격을 기존의 팀 조직에 부여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 경영을 수행하는 실제 조직의 팀원과 팀장들의 인터뷰를 통하여, 기존의 팀이 온라인 채널을 강화했을 때, 하이브리드 팀의 성격을 갖추게 되어서, 팀원들 사이에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서, 지식을 효과적으로 공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실제적으로 성과를 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관찰은 정보 시스템이 급변하는 경쟁 환경 속의 팀 구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또 다른 연구 목적인, 지식 경영을 수행함에 있어서, 문화적 기술적 지식 경영 동인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제시하고자 개인 수준에서 지식 공유를 위한 사회적 기술적 요인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즉, 개인 수준의 연구에서는 신뢰, 보상과 지식 공유와의 관계를 밝히고 이와 성과와의 연계관계를 사회 기술적 관점을 통해 살펴보았다. 즉, 개인 수준에서 지식 경영 시스템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시스템보다는 상호간의 신뢰와 적절한 보상의 사회적 동인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개인 수준 연구를 통해서, 우리는 사회적 요인이 기술적 요인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을 파악했으며, 특히 기술적 요인이 사회적 요인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 활용 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자 및 기업의 경영진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연구자 입장에서, 본 연구는 사회 기술적 관점을 기반으로, 팀 수준의 지식 경영 실증 연구 모형을 제안하였다. 특히, 팀 수준에서 중요한 사회적 동인으로 분산기억을 제시하고 이를 실제 기업의 팀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가상 팀과 실제 팀의 혼합 성격을 가진 하이브리드 팀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므로, 향후 이를 위한 실증 연구의 초석으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지식 경영 활동들을 수행하고 있는 조직의 경영진에게 실제적인 지식 경영 활성화를 위한 실무적인 가이드 라인을 수립 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즉, 개인 수준이나 팀 수준의 지식 경영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상이나 신뢰 구축, 분산 기억과 같은 사회 요인과 지식경영 시스템과 같은 기술적 동인을 균형 있게 고려 한다는 것이다. 특히 정보 기술의 활용이 직접적으로 지식 공유와 활용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사회적 요인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고려하여 적합한 지식 경영 시스템 구축에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SM 08010
형태사항 vii, 123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Appendices : 1, Questionnaires for the individual level. - 2, Questionnaires for team knowledge management
저자명의 한글표기 : 최수영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Hee-seok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희석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전공,
서지주기 References : p. 95-110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