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제품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운드 피드백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uitability of sound feedback in product user interface
서명 / 저자 제품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운드 피드백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uitability of sound feedback in product user interface / 김보민.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8].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906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D 0800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Auditory aspects are one of the elements of product user interface design. Because of its mnemonic characteristics, auditory information has potential to be a key factor for designers and marketers to achieve a distinct product concept. It can also be an effective feedback mechanism in situations when the visual user interface does not work properly for the distance between user and devices. There has been growing recognition on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including auditory information in user interface. While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this topic with focus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and task achievement, there are very few studies on users' emotional reaction to the sound and understanding of sound mean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sound feedback in user interface. The suitability of sound feedback is defined by whether the users' understanding of sound meaning match the designer's initial intention. The study consists of two parts according to categories of sound feedback: Product operation sound feedback and Product condition alert sound feedback. In part I and part II of experiment, the subjects listened to various sound feedback stimuli in random order and assessed the feature of each stimulu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Subjects could guess the meaning of sound feedback close to the initial intention. It suggested that auditory information can be effectively used in non verbal communication. (2) The ratings of the sound feedback's feature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Positive vs. Negative', 'Connect vs. Disconnect', 'Select vs. Cancel' and 'Preference'. It implies that people evaluate the sound feedback based on one holistic standard. (3) With product condition alert sound feedback, time intervals of repeating sound influenced the evaluation of 'Significance'. Moreover, the assessment of 'Significance' also affected the number of repeat times. (4) Gender difference did not affect the ratings of meaning and preference. Based on the result of experiment, a sound design guideline was developed. It can be used as reference when a sound feedback is designed to enhance users' emotional satisfaction and usability.

청각 요소는 제품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하나의 요소로 사용된다. 청각 정보가 가진 기억되기 쉬운 특성 때문에 디자이너와 마케터들이 특정한 제품의 컨셉을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소리를 사용한 피드백은 시각을 사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존하기 힘든 상황에서 효과적인 피드백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청각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시켜서 얻게 되는 효율성이나 필요성에 관한 연구가 계속 되어 왔다. 많은 연구자들이 수행도 향상에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지만, 사운드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적인 반응이나 사운드의 의미에 대한 이해도 등을 주제로 한 연구는 아직 많이 수행되지 않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운드 피드백의 적절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사운드 피드백의 적절성은 사용자가 사운드를 듣고 이해하는 정도가 그 사운드를 처음 디자인할 때의 의도와 일치하는 정도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제품 동작 행위'와 '제품 상태 알림'의 사운드 피드백의 두 분류에 따라 크게 두 실험 연구로 진행되어 있다. 파트 1과 파트 2에서 피실험자들은 다양한 사운드 피드백의 자극을 랜덤한 순서로 듣고, 각각의 사운드 자극의 특성들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발견 점 들은 다음과 같다. (1) 피실험자들은 사운드 피드백의 의미를 그 사운드 피드백이 사용되는 용도와 가깝게 추측할 수 있었다. 즉 청각적 정보가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커뮤니케이션의 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2) '긍정적인 vs. 부정적인', '연결하는 vs. 해제하는', '선택하는 vs. 취소하는', 그리고 '선호도'의 네 가지 사운드 피드백의 특성 평가 결과 값 들이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것은 사람들이 사운드 피드백을 평가할 때 하나의 전체적인 기준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3) 제품 상태 알림의 사운드 피드백에서는 사운드 반복의 시간 간격과 반복 횟수가 '중요도'의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 (4) 성별에 따른 결과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사운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사운드 피드백을 제작할 때, 사용자의 감성적인 만족과 사용성 증대를 위한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D 08004
형태사항 ix, 97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Bo-min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정경원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yung-won Chung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A2-A5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