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Digital stranger : 2000년대 공포영화의 ‘미디어를 통한 공포 유발자’에 대한 특성 연구 = Digital stranger : a study for the characteristics of ‘horror inducers by media’ in 2000s the horror movies
서명 / 저자 Digital stranger : 2000년대 공포영화의 ‘미디어를 통한 공포 유발자’에 대한 특성 연구 = Digital stranger : a study for the characteristics of ‘horror inducers by media’ in 2000s the horror movies / 송소연.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864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CT 0700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Making horror movies by using digital media is a new trend of the early 2000s. With attention to this situ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monster ‘Digital Stranger’ using digital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Stranger. And also to investigate the best way to use digital media and the property of digital media in narrative structures in Digital Stranger horror movies. To achieve this, this research analyzes 8 horror movies to meet the 2 conditions, digital media is the essential material in horror movies and all characters who died in horror moves communicate with monster through digital media. The methods of analysis are differentiated into two directions. One is the comparative study, and the other is scene analysis based on horror plot and the property of digital media.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sever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Stranger horror movies were found concerning the reason of attack, type of normality, the solution and the sign of horror. Movies that show a rise in the suspense level at the moment when the media creates a horror situation tends to gain popularity. Up to now, Digital Strangers used few factors of digital media but there are many important factors of digital media that are left for effective use.

이 연구는 2000년대 한국에서 개봉한 공포영화에서 보이는 특성들을 Digital Stranger라고 명명한 후 그 특성을 찾고 활용 방안, 사회적 함의를 얻기 위한 것이다. 시대별로 다른 의미를 지니며 발전한 공포영화 속의 괴물은 전통의 계승을 통해 발전하는 다른 영화와는 달리 각 시대의 억압적 상황이나 현실을 반영하며 발전해왔다. 세기말의 묵시론적 공포영화를 보내고 난 후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인간을 공격하는 Digital Stranger가 등장한다. Digital Stranger가 나오는 공포영화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선별할 수 있다. 영화 안에서 전자 미디어가 주요 소재로 사용되는 영화 괴물에게 죽임을 당하는 사람들은 모두 주요 미디어를 통해 괴물과 커뮤니케이션 했어야 한다 선별한 8편의 영화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Digital Stranger에 관한 연구를 한다. 공포영화 안에서 보여지는 Digital Stranger의 특성은 무엇인가 Digital Stranger가 사용하는 미디어가 서사구조 안에서 어떻게 사용되어야 효과적인가 Digital Stranger가 사용하는 미디어가 공포를 유발할 때 어떠한 특성을 사용하는가. 씬 분석을 시작으로 하여 씨퀀스 분석, 타 공포영화와 비교 분석, 미스터리와 서스펜스 분석, 디지털 미디어 특성 분석 등 각 부분에 해당하는 연구 방법을 설정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공포영화 안에서 보여지는 Digital Stranger의 특성은 다른 괴물과 달리 시공간에 제약 없이 불특정다수의 정상성을 세상에 향한 복수를 하기 위해 공격한다. 이는 세기말 보였던 묵시론적 공포영화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무작위로 공격받는 정상성 역시 다른 공포영화에서 볼 수 없는 특성을 갖는데, 그것은 바로 위험함을 알고 있는데도 Digital Stranger를 먼저 찾아가고 자신의 안위를 위해서 다른 정상성을 공격한다는 것이다. Digital Stranger가 이용하는 미디어는 공격 그 자체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메시지를 위해 이용한다. 미디어를 통한 공격은 괴물 그 자체가 등장하기 보다는 메시지로서 실체가 불명확한 상태이다. 이렇게 공포의 역할을 하는 순간의 미디어와 영화 전체적으로 보이는 서스펜스의 순간들을 비교해보면 두 그래프들이 비슷한 추이를 보일 때 관객들의 호응이 좋음을 알 수 있다. 공포 역할을 하는 순간의 미디어의 특성을 조사해보니 Digital Stranger의 Digital 적인 다양한 속성을 표현하는데 아직은 활발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07005
형태사항 53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부록 수록
저자명의 영문표기 : So-Yeon Song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Tak Hwan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탁환
공동교수의 영문표기 : Jae-Seung Jeong
공동교수의 한글표기 : 정재승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