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스피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나타나는 개인용 서비스 로봇의 개성 선호 연구 =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personal service robot\'s personality expressed through speech interface
서명 / 저자 스피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나타나는 개인용 서비스 로봇의 개성 선호 연구 =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personal service robot\'s personality expressed through speech interface / 소희선.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6].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7296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D 0600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Applying personality to robots is important because it enables an effective human-robot interaction by making robots' behavior predictable and reducing discomfort towards robots, A robot's personality can be expressed by various elements. Among these, speech is an interface element that can provide an intuitive interface while expressing personality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various personalities can be created for robots in such a way that humans have various personalities. However, in robot personality design, it is important to design personality with consideration to the user's preference. This research aims to discover robot personality type preferences revealed through speech. The following findings were attained from literature review and experimental research, 1. In human-robot interaction, theories on interpersonal preference did not apply. There were no preference towards robots with similar or complimentary personalities to the user, while there was a strong preference for a kind and friendly robot personality overall. 2. Based on personality type theory centered in interpersonal qualities, robot personality types can be categorized into extroversion-thinking robot, extroversion-feeling robot, introversion-thinking robot, and introversion-feeling robot. In most preceding studies, personality types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 robot's role or charact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focusing on human-robot interaction and grouping robot personalities based on the features found in relationships, 3. Using the linguistic content and sound in speech, the four robot personality types were expressed to people and the types were found to be distinguishable. Speech is an intuitive and natural interface and has technical advantages over other elements that express personality. Thus, an effective robot personality design can be developed by using speech appropriately, 4. Personality types described as kind, genial, friendly, and considerate were preferred for personal service robots, This can be suggested as people's mental model for personal service robots, Different preferences were shown according to robot user's personality types, For instance, feeling type users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feeling type robots. Also, because the preference for feeling type robots were higher in circumstances where the robot gives orders rather than when it does not, users showed their desire for a kind robot.

로봇의 개성 디자인은 로봇 행동에 대한 사람의 이해도를 높여주며, 인간-로봇 상호작용 시 부드럽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가능케 해주고 또한 사람으로 하여금 로봇을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해준다. 로봇 개성은 다양한 요소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이 중 스피치는 로봇개성을 표현함과 동시에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준다. 한편, 다양한 인간의 개성이 존재하는 것처럼 로봇에 있어서도 다양한 개성을 창출해 낼 수 있다. 그러나 로봇 개성 디자인 연구에서 중요한 것은 로봇 사용자인 사람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로봇 개성을 디자인해야 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피치를 통해 드러나는 로봇 개성유형의 선호경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문헌연구와 실험연구를 진행하면서 다음과 같은 발견점을 얻었다. 1. 인간-로봇 상호작용에 있어서는 대인관계 선호 이론이 성립되지 않았다. 인간-로봇 상호작용의 경우, 자신과 비슷한 혹은 상반된 개성의 로봇에 대한 선호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특정 개성의 로봇에 대해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이는 로봇에 대한 사람의 기대감이 존재하며, 사람은 로봇이 이를 만족시켜주길 바라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2. 대인관계 중심의 성격 유형론을 바탕으로 외향적 사고형 로봇•외향적 감정형 로봇•내향적 사고형 로봇•내향적 감정형 로봇으로 개성유형을 나눌 수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주로 로봇 역할이나 캐릭터 중심으로 개성유형을 분류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인간-로봇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고, 관계에 있어 발견되는 특징을 바탕으로 로봇 개성유형을 분류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3. 스피치의 언어적 내용과 사운드를 이용하여, 앞서 정의한 4가지 로봇 개성유형을 표현할 수 있었으며, 또한 사람들은 이렇게 표현된 로봇 스피치를 통해서도 로봇 개성 유형을 파악할 수 있었다. 로봇에 있어 스피치는 직관적이고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는 요소이며 또한 다른 개성표현 요소들에 비하여 기술적인 이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향후 스피치를 적절히 사용한다면 효과적인 로봇 개성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4. 개인용 서비스 로봇의 개성유형으로 선호되는 유형은 친절한•온순한•붙임성 있는•배려하는 등으로 표현될 수 있는 유형이었으며, 이것이 개인용 서비스 로봇에 대한 사람의 멘탈모델이라 할 수 있다. 로봇 사용자의 심리유형에 따라 같은 유형의 로봇에 대하여도 다른 선호도를 보였는데, 로봇 사용자가 감정형 일수록 감정형 로봇에 대하여 더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또한, 로봇이 사람에게 무엇인가를 시키는 기능을 할 때에는 그렇지 않을 때보다 감정형 로봇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이는 로봇이 좀 더 친절하게 대해주기를 바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D 06004
형태사항 [vi], 88, [11]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부록 : B, 실험 설문문항
저자명의 영문표기 : Hee-Seon S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명석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yung-Suk Kim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