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참여미학에 기초한 상호작용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지각원리를 활용한 상호작용 모듈의 구조 디자인 및 구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raction design through aesthetic of engagement : with emphasis on the structural design and materialization of an interaction module based on the principle of perception
서명 / 저자 참여미학에 기초한 상호작용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지각원리를 활용한 상호작용 모듈의 구조 디자인 및 구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raction design through aesthetic of engagement : with emphasis on the structural design and materialization of an interaction module based on the principle of perception / 서화연.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3].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398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D 0300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rough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changes in cultural paradigm, there has been a shift in the way society perceives computing implications and methods. The computer is now more than just a tool, it is a partner, a friend that is needed in everyday life. Due to this shift, the computer and computing itself is treated not as just an inanimate “thing” but more as a living process. These phenomena have brought changes in the way people use and interact with the computer. Instead of using just the keyboard and the mouse, newer method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communication methods are being researched into. Input methods such as the usage of different parts of the body are becoming more and more stressed and tools to detect the computer’s response to these inputs are also being delved into. The changes in computing methods and implications have come to the level where aesthetic values can be placed upon it. The human are now able to undergo the aesthetic experience during the computing process and there is much research in fields related to emotional aesthetic experience. Since these researches deal not only with humans and computers but also the space where they interact, it covers a very wide area and thus needs to be approached in a systematic way. This research will present the basic frame of the instrumental implication that is needed to plan aesthetic computing through the modularization of the interaction factor. The planning process of aesthetic computing can be categorized as a creation process because it is a creation of an aesthetic experience, but since it has a different meaning from the past relatively simple aesthetic works, the concept of the tool needed will also have to be different. This new tool will not be a physical tool but an intellectual tool, which will be more conceptual than traditional tools used for creation. However, since it does not place focus on the process of it’s usage, it will be optional and more tangible than methodological. Lastly, through the module structure presented, an interactive art piece will be produced. As computing areas where the artist’s capacity and intentions are included, interactive art is very appropriate in bringing out the aesthetic experience. This research, through the realization, will validate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n aesthetic situation using tools and verify it’s usefulness.

기술의 발전과 문화적 패러다임의 변모로 인해, 컴퓨팅의 방식과 의미에 있어서도 큰 변화가 나타났다. 기존의 작업 도구이던 컴퓨터는 도구로서의 한계에서 벗어나, 친구와 같은 존재로 인식되게 이르렀으며, 이에 따라 컴퓨팅의 방식 또한 사물을 대하는 태도에서 살아있는 생명체 즉, 식물이나 동물 나아가 사람에 이르는 그것으로까지 변모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 있어 인간의 사용법은 기존의 키보드와 마우스로 행해지던 단순한 입력과정에서 벗어나, 생명체와의 소통과 같이 변하게 된다. 즉, 이전에 비해 자유로우며 감성적이고 행동적인 경향을 보이게 된다. 이에 따라 신체의 사용이 강조되며, 컴퓨터의 반응을 지각하는 감각의 종류 또한 다양화된다. 컴퓨팅의 의미와 방식의 변화는 그것에 미적인 가치를 부여하기에 이른다. 인간은 컴퓨팅의 과정에서 미적 경험을 체험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컴퓨팅과 관련된 많은 연구 분야들은 보다 다양하고 감성적인 미적 체험을 유도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러한 미적 컴퓨팅의 계획 과정은 인간의 측면과 기계의 측면, 그리고 그것이 행해지는 공간의 문제 등 매우 광범위한 범주를 아우르는 것이기 때문에 그 과정에 있어서 보다 체계적인 접근 방향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적 컴퓨팅을 계획하기 위한 도구적 의미의 기본 구조를 상호작용 요소의 모듈화를 통해 제안한다. 미적 컴퓨팅의 계획 과정은 미적 경험의 창출이라는 점에서 엄연히 창조의 과정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 그 창조의 영역이 이전의 단순한 미적 대상의 제작과는 다른 의미를 갖기 때문에 여기에 필요한 도구의 개념도 달라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도구가 아닌 지식적 도구를 제안한다. 이것은 기존 창조의 도구보다 개념적이지만, 그 과정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방법보다는 실체적이며 선택적이다. 마지막으로는 제시된 모듈구조를 활용하여, 상호작용적 예술품을 제작한다. 상호작용적 예술은 작가의 창작 의도와 역량이 담긴 컴퓨팅 분야로써 미적 경험을 이끌어내기에 가장 적합한 분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적 예술의 실현을 통해 도구를 이용한 미적 상황의 창출 가능성을 확인하고 그것의 유용성을 검증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D 03004
형태사항 [vii], 129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Hwa-Youn Suh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임창영
공동교수의 한글표기 : 이병종
공동교수의 한글표기 : 권은숙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Chang-Young Lim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126-129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