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Critical factors for O-O technology assimilation in an IS organization : a progrmming language perspective = IS조직에서의 객체지향기술의 동화에 대한 핵심결정요소 : 프로그래밍 언어 관점
서명 / 저자 Critical factors for O-O technology assimilation in an IS organization : a progrmming language perspective = IS조직에서의 객체지향기술의 동화에 대한 핵심결정요소 : 프로그래밍 언어 관점 / Ihl-Soon Cho.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347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GSM 0201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8641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DGSM 02016 c. 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Object-oriented(o-o) technology is one of the core components in today’s information technology. It could bring breakthroughs in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software development by reusing standardized component library and enabling convergent approach. O-O technology was expected to rapidly replace traditional functional software development technology due to its productivity and quality improvement potential in software development. Considering the impact of o-o technology on IS development and management, understanding of the assimilation of o-o technology is important for practitioners and academics. Despite growing interest and attention of researchers and IS organizations, empirical research on the assimilation procedures of o-o technology in an organization has been limited. The present research assesses the current status of o-o technology assimilation in IS organizations and identifies the factors influencing such assimilation from a software process innovation perspective. This study developed a research model, which incorporates factors that are expected to influence o-o technology assimilation in IS organization. Factors related to o-o technology perception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were included in the model as determinants. Technology perception was considered in terms of both internal/organizational and external/Information Technology (IT) industry context. O-o technology is a cluster of related technologies, thus various forms of adoption may proceed in an organization. Because these patterns of adoption were expected to have moderating effect on the base relationships between determinants and o-o technology assimilation, level of o-o methodology usage was included in the research model. To test the reliability of research model and instruments pilot survey was performed. Pilot survey was performed by visiting 44 IS organizations and getting response from the manager of IS department. Based on the pilot survey, research model was revised and main survey was performed. Th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in the form of a field survey. The survey was performed between July 1999 and September 1999. The primary source of the sampling frame was a list of the 1,000 largest firms based on revenue reported in an influential economic daily in Korea. Innovation attribute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were tested as determinants of the organizational o-o technology assimilation based on a survey of 220 organization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ssess the relationships. This study shows that 82% of the surveyed organizations are concentrated in the stages from commitment to general deployment. Although this study could not check the validity of the expectation of market trend variable because of the high convergence of the variable, at the time of survey organizations tend to agree on the dominance of the o-o technology. Among the innovation characteristics, perceived complexity and perceived maturity of technology have been found to influence organizational assimilation of o-o technology. Support for the technology maturity indicates that either perception of higher technology maturity leads to the higher assimilation level or, as the organizations get more assimilated with a technology, they tend to believe the technology to be more mature. Contrary to the theoretical expectations, technology complex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assimilation of o-o technology. IS organizations in the higher level of assimilation stage have higher level of perception of complexity.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introduce an appropriate migration plan along with sufficient education to mitigate the perceived complexity of o-o technology. In this study, traditional innovation attributes such as relative benefits and compatibility did not contribute to the assimilation level.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intensity of new technology education and satisfaction with existing technology we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organizational assimilation of o-o technology. When it comes to o-o technology with a high knowledge barrier, intensity of training on the new technology i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overall knowledge level of the organization, accepta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capability to use it. As predicted, IS organizations at more assimilated stages expressed higher level of dissatisfaction with productivity, quality, flexibility, and implementation functionality of the traditional programming languages. We also found that the level of o-o methodology usage significantly interacted with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o-o technology assimilation.

객체지향 기술은 정보 기술의 핵심 요소이다. 객체지향기술을 이용하면 소프트웨어를 검증된 부품 라이브러리를 통해 개발함으로써 개발생산성과 품질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에서의 이러한 생산성과 품질 향상의 가능성으로 인해 객체지향기술이 종래의 기능적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을 급속히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정보시스템의 개발과 관리에서의 객체지향 기술의 이러한 영향을 고려할 때 객체지향 기술이 조직에서 도입되고 확산되는 동화 과정은 정보시스템 조직 및 학계에 중요한 주제이다. 정보 시스템 조직과 학계의 지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객체지향기술의 동화에 대한 연구는 제한되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조직에서의 객체지향 기술의 동화에 대한 현재의 상태와 이러한 동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혁신의 관점에서 평가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 조직 내에서의 객체지향기술의 동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연구 모형을 작성하였다. 연구 모형에서는 객체지향기술 특성에 대한 인지요소와 조직특성에 대한 요소를 포함한다. 객체지향기술 특성에 대한 인지요소는 내부적/조직적 관점 및 외부적/정보기술산업 관점에서 고려되었다. 객체지향기술은 관련 기술 요소의 집합이기 때문에, 한 조직내에서 여러가지 형태의 기술 도입 패턴이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도입 패턴이 객체지향기술의 동화와 이의 결정요인 간의 기반관계에 영향을 미치리라고 예상되어 객체지향방법론의 사용정도가 조정변수로 연구모델에 포함되었다. 연구모형과 측정항목의 신뢰성을 테스트 하기 위해 시범 조사가 수행되었다. 시범 조사는 44개 회사를 방문하여 정보시스템 부서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시범 조사에 근거하여 연구모형이 보완되었고, 보완된 연구모형으로 본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조사는 1999년 6월부터 9월까지 수행되었다. 표본은 한국의 유력 경제지에 기술된 매출액 기준 1000개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응답한 220개 회사의 조사를 대상으로 가설을 테스트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조사 시점에 대상 회사의 82%가 객체지향기술의 사용을 결정한 단계부터 전반적 확산 단계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객체지향기술 특성에 대한 인지요소 중 ‘객체지향기술의 시장 동향에 대한 기대’ 변수의 높은 수렴으로, 이 연구에서는 해당 변수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없었지만, 조사시점에 객체지향기술의 점유 우위성에 대해 조사대상 조직들이 일치된 인지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객체지향기술의 복잡도의 인지’와 ‘객체지향기술의 성숙도의 인지’가 객체지향기술의 조직내 동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성숙도 변수의 연관성은 높은 성숙도를 인지하는 기업이 기술을 먼저 도입하여 높은 단계의 동화에 있거나, 동화 단계가 높아지면서 성숙도에 대한 인지가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론적 예측과는 반대로 복잡도에 대한 인지는 객체지향기술의 확산과 양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높은 단계의 동화에 있는 조직이 객체지향기술의 복잡도에 대해 높은 인지도를 갖고 있음이 분석되었다. 객체지향기술의 성공적 구현을 위해서는 사전에 기술의 복잡도를 줄이기 위한 적적한 이행계획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 연구에서는 종래의 기술혁신의 요소인 상대적 이점 및 부합성은 동화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조직특성 요인 중에서 ‘신기술에 대한 교육의 정도’와 ‘기존에 사용하던 기술에 대한 만족도’가 객체지향기술의 동화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객체지향기술의 경우처럼 높은 지식장벽을 가진 기술에 있어서 ‘신기술의 교육의 정도’가, 조직의 지식수준, 신기술의 수용정도 그리고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능력과 직접적 연관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예측한 것과 같이 높은 동화 단계에 있는 조직일수록 기존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생산성, 품질, 유연성 및 구현 기능에 높은 불만족의 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기반 관계에 객체지향방법론의 사용의 정도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SM 02016
형태사항 x, 197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Appendix : A, Questionnaire of pilotsurvey. - B, Questionnaire of main survey
저자명의 한글표기 : 조일순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ung-Gul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영걸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전공,
서지주기 Reference : p. 158-168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