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Studies on the interaction of glucagon with lipid bilayer and the structures of ovine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using CD and NMR techniques = Glucagon과 인지질 막과의 상호작용 및 CD와 NMR을 이용한 ovine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의 구조에 관한 연구
서명 / 저자 Studies on the interaction of glucagon with lipid bilayer and the structures of ovine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using CD and NMR techniques = Glucagon과 인지질 막과의 상호작용 및 CD와 NMR을 이용한 ovine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의 구조에 관한 연구 / Kyoung-Seok Ryu.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0].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079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BS 0001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Part I) Glucagon은 dimyristoylphosphatidylcholine 리포좀을 discoidal complex로 만든다. pH가 높아짐에 따라 vesicle을 깰때 필요되는 glucagon의 농도가 증가하고, 이는 glucagon의 binding정도과 관계가 있다. 또한, NaCl이 존재하에서 이러한 기작은 더 쉽게 일어나는데, 이 또한 glucagon의 binding정도과 관계가 있다. Trp의 fluorescence가 doxyl 그롭에 의해서 quenching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glucagon의 Trp는 vesicular complex인 경우에는 표면에, discoidal complex인 경우에는 인지질의 acyl chain부분에서 자유로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 실험과 Tyr의 second derivative UV spectroscopy 실험을 통하여 Tyr8, 13 과 Trp25 모두가 discoidal complex의 형성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Part II)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CRF)는 41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peptide-amide 호르몬으로, 스트레스에 대한 일반적인 반응에 관계한다. ovine CRF (oCRF)의 His32를 Ala으로 치환하면 이 호르몬의 활성도가 4.5배가 증가한다는 사실이 보고 되었는데, 우리는 이 Ala으로 치환된 ovine CRF ([Ala32]oCRF)와 oCRF의 TFE 용액에서의 이차구조를 CD와 NMR을 이용하여 비교했는데, TFE 용액은 α-helix를 안정화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의 보고와 달리, 이 peptide들의 α-helix 구조는 C-말단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C_\alphaH$ 와 NH chemical shift 값을 이용하여 oCRF의 부분구조의 성질들을 알 수 있었다. oCRF와 [Ala32]oCRF 모두는 pH나 온도에 관계없이 가운데 부분에서 안정한 α-helix 구조를 가졌고, α-helix 시작부분이 pH가 내려감에 따라 더 안정화 되었다. 하지만, [Ala32]oCRF는 아미노산이 치환된 부분에서 oCRF에 비해 더 안정된 α-helix 구조를 가지는데, 이것이 증가된 활성도의 원인으로 생각된다. (Part III) Hydrophobic moment 분석으로부터 ovine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oCRF)과 [Ala32]oCRF 모두가 세 부분의 amphipathic α-helix motif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두 peptide들은 micelle 이나 phosphatidylserine (PS)과 phosphatidic acid (PA) vesicle에 결합해서 α-helix 구조가 유도 되는데 반해서 phosphatidylcholine (PC) vesicle에는 결합해도 구조적인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amphipathic한 C-말단 부분은 PC vesicle과 약하게 interaction을 하는데, [Ala32]oCRF의 PC와 PC:PA (5%) vesicle에 대한 결합정도가 oCRF 보다 높은 이유는 [Ala32]oCRF의 amphipathic한 C-말단 부분이 더 안정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 두 peptide에 있는 His13은 이온결합을 통해서, NaCl이 있는 상태에서, head 그룹에 음전하를 지닌 vesicle과의 결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oCRF는 pH가 5.0 보다 낮을 때 PA vesicle에 결합해서 β-plate sheet 구조를 가지는데 이는 매우 흥미로운 현상이다. 또한 [Ala32]oCRF도 좀 더 낮은 PH에서 oCRF의 경우와 같은 현상이 일어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BS 00012
형태사항 xi, 108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류경석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Chan-Kyu Park
공동교수의 영문표기 : Hyoung-Man Kim
공동교수의 영문표기 : Byong-Seok Choi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박찬규
공동교수의 한글표기 : 김형만
공동교수의 한글표기 : 최병석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생물과학과,
서지주기 Reference : p. 99-102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